전자기기

플스3 자동으로 꺼질 때 해결 방법. p.s. 뚜따로 해결되지 않을 때

Jirisana 2023. 1. 25. 23:42
반응형

플스3(CECHL05)구동 중 비프음 3회와 함께 자동으로 꺼지는 현상이 발생했다. 특히 PS2게임을 구동 시 더 빠른 시간 안에 꺼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PS2타이틀 구동 시 열이 더 많이 나는 것으로 알고 있다. 검색결과 CELL칩 또는 RSX칩이 과열되어 꺼지는 것이므로 뚜따 후 써멀구리스 재도포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는 정보를 얻었다.

 

 

구형 PS3 플스3(CECHL05) 분해 및 뚜따 방법, 주의사항

시작하기 전 꼭 필요한 공구: 1. 면도칼날(또는 그만큼 얇은 칼날) 2. 롱노즈플라이어 3. 십자드라이버 4. 작은 일자 드라이버(또는 별드라이버) 이게 없다면 시작할 수 없음. 주의할 점! CELL 뚜따시

cybernetics-core.tistory.com

위 링크를 참고하여 뚜따 후 써멀구리스 재도포를 통해 칩의 온도를 떨어트렸음에도 불구하고 게임 구동 중 꺼지는 현상이 반복되었다. 

과열에 의한 것은 맞는 것 같은데 왜 꺼지는 걸까 고민하던 중 써멀구리스가 도포되지 않은 칩셋이 한 개 더 있었다는 것이 떠올랐다.

바로 이것. 위키에 의하면 CXD2984AGB는 사우스브리지 칩셋인 것으로 보인다. 

사진에서 알 수 있듯 열이 많이 발생하여 패키지 표면이 변색되어 있다. 메인보드를 바닥면에서 지지해 주는 섀시를 다시 한번 살펴보니 써멀패드가 붙어있었다. 알 수 없는 원인에 의해 칩셋이 과열되어 꺼지는 것이 아닐까 하는 가설을 세우고 써멀패드를 보강하기로 했다. 써멀패드를 구매하여 제대로 손보고 싶었으나 빨리 해결하고 싶었던 마음에 전원회로에 붙어있던 써멀패드의 여분을 잘라 붙여주고 뚜따 후 도포한 써멀구리스의 여분을 조금 발라주었다.

 

방열판에 닿지 않는 부분을 잘라서 사용하기로 했다.

실제 방열판에 닿는 부분은 이만큼이다.

방열판에 붙여주고 남은 써멀구리스를 발라주었다. 여유가 된다면 샤시에 절곡된 면적 전체에 써멀패드를 붙이는 게 가장 좋을 것 같다.

 

결과는 성공적인 것 같다. PS2, PS3타이틀을 번갈아가며 한 시간 이상 구동했는데 꺼지지 않았다.

GTA5를 정품 BD로 구동한 상태. FAN 22%로 아주 조용하다. BD액세스 하는 소리가 더 크게 들린다. 난방 중인 것을 감안하면 아주 성공적이다.

2009년2월 제조된 기기니까 약 13년 11개월 24일..거의 14년만에 정비한 셈이다. 수명이 다하지 않는다면 2037년에 열어봐야겠다~

 

결론: 뚜따 및 써멀재도포 후에도 기기가 꺼지는 증상이 해결되지 않는다면 사우스브리지의 써멀패드를 보강해보기 바란다.

끝.

 

 

p.s. 사우스브리지가 과열되는 원인은?

1. 전원회로 열화로 인한 전압 불안정(과전압, 저전압, 지나친 전압변동률 또는 리플)

2. 원인 1에 의한 칩셋이 손상되어 과전류 흐름(디지털 IC의 경우 시스템에 문제는 주지 않고 동작하면서 과전류에 의해 발열만 증가하는 경우가 있음)

3. 써멀패드 열화로 인해 두께가 얇아져 않아 섀시 사이에 유격이 발생한 경우

이 정도로 예측해 볼 수 있을 듯하다. 나는 원인 3이 가장 유력해 보인다. 여유가 될 때 보다 두꺼운 써멀패드를 구입하여 붙여보고 싶다.

 

 

* 본 방법을 사용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전혀 부팅되지 않게 됨. RSX칩이 소손된 것으로 보인다.

반응형